미국과 달리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은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도 소비세 인상의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유로존은 뒤늦게 ‘양적 완화 카드’를 꺼내들었고, 일본도 지난해부터 국채 매입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

유로존은 지난 2분기 제로성장에 머물렀다. 유로존 경제를 이끄는 독일은 5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률(-0.2%)을 기록했다. 유로존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0.3%로, 유럽중앙은행(ECB)의 목표치 2.0%를 크게 밑돌았다.

유로존에 ‘디플레이션(장기 물가침체)’의 먹구름이 드리우면서 ECB는 지난 20일부터 커버드본드(금융회사가 보유한 우량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유동화한 채권) 매입을 통해 금융회사에 유동성 공급을 시작했다. 매입 규모는 지난주에만 약 17억유로(약 2조2700억원)에 달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이달 초 “필요하다면 시장 개입 규모와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며 추가적인 양적 완화 정책 시행 가능성을 열어놨다. 전문가들은 ECB가 전면적 양적 완화 정책을 위해 매입 대상 채권을 회원국의 국채와 회사채 등으로 확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분기 성장률이 -7.1%(전년 동기 대비)를 기록한 일본도 국채 매입을 통한 유동성 공급을 지속하고 있다. 일본은행(BOJ)은 지난해 4월 이후 매달 7조엔(약 67조원) 규모의 국채를 사들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31일 열리는 통화정책회의에서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가 추가 양적 완화 정책을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인민은행도 시중은행들에 단기 유동성 지원을 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둔화 등으로 3분기 성장률이 7.3%에 그쳐 정책 목표인 7.5%를 밑돌았기 때문이다. 인민은행은 지난달 시중은행에 5000억위안(약 86조원)의 자금을 공급한 데 이어 이달 17일에도 2000위안을 추가적으로 지원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