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부르고 결제까지…'카카오 택시' 출시 눈앞 "우버완 달라"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이 글로벌 차량 앱서비스인 '우버'처럼 공유형경제 시장에 뛰어든다.

카카오 관계자는 지난달 31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와 택시를 연결해주는 '카카오택시(가칭)' 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사내에 태스크포스(TF) 팀을 꾸리고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앱으로 부르고 결제까지…'카카오 택시' 출시 눈앞 "우버완 달라"
TF 팀장은 지난해 카카오가 인수한 지인 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써니로프트'의 대표를 지낸 정주환 씨로 알려졌다.

국내 이용자가 3700만명에 달하는 카카오톡 플랫폼을 활용해 모바일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오프라인까지 넓히겠다는 전략이다.

카카오택시는 '우버'처럼 앱을 통해 간편하게 택시를 부르는 서비스다. 이용자가 택시를 호출하면 카카오택시에 등록한 택시 가운데 가장 가까운 차량이 배정된다. 이용자에게 도착하는 순간까지의 경로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택시를 잡기 위해 길거리에 나가거나, 콜택시를 부른 뒤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없앤 것이다. 이용자들의 별점과 후기 등을 통해 택시기사를 평가하는 시스템도 갖출 예정이다.

우버와 차이도 있다. 기존 택시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우버는 국내에 진출하면서 개인 승용차나 렌터카 등을 활용한 탓에 서울시와 불법 논란을 빚고 있다. 반면 카카오는 기존 택시를 이용해 불법 요소를 없애고, 상생 협력도 모색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카카오는 이르면 오는 9월 시중 15개 은행과 협력해 소액 송금·결제 서비스인 '뱅크월렛 카카오'를 출시할 예정이다. 9개 카드사와 함께 간편결제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카카오는 이를 이용해 택시 앱에서 바로 결제까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정비할 계획이다.

국내 메신저 시장을 석권하긴 했지만 수익성이 떨어지며 2%가 아쉬웠던 카카오는 해결책을 'O2O(온라인 투 오프라인) 비즈니스'에서 찾기로 한 것이다.

국내 상거래 시장에서 80%의 비중을 차지하는 오프라인 시장은 전체 시장 규모가 300조원에 달한다. 정보기술(IT) 역량을 활용해 모바일의 손길이 닿지 않은 오프라인 시장에 진출하는 O2O 비즈니스가 '황금시장'인 이유다.

소식이 알려진 뒤 카카오 택시에 대한 누리꾼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누리꾼들은 포털사이트의 기사에 댓글을 달며 "카카오 택시, 저는 환영입니다", "카카오 택시 덕에 야근할 때 편하겠어요", "카카오 택시, 우버처럼 삐걱대지 않았으면" 등의 반응을 보이며 환영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