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작을 국회의원에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섰던 정의당 노회찬 후보가 지난 27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달마사에서 불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동작을 국회의원에 야권 단일 후보로 나섰던 정의당 노회찬 후보가 지난 27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달마사에서 불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단일화 '골든타임' 놓치고 보수층 결집 반작용 초래
땜질식 연대보다 통합 등 근본대책 필요할 듯


야권은 7·30 재·보선에서도 끝내 '후보 단일화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 수준에 그쳤다.

열세에 처한 수도권 판세를 뒤집기 위한 '마지막 무기'로 서울 동작을과 수원 병(팔달), 수원정(영통) 등 3곳에서 단일화를 이뤄냈지만, 그 결과는 수원정 1곳만 건지는 '1승2패'에 그쳤다.

시기적으로 투표용지 인쇄(21일) 시점 후 뒤늦게 단일화가 성사되면서 '골든타임'을 넘긴데다 방식 면에서도 특정 후보의 일방적 사퇴라는 모양새로 귀결,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면서다.

특히 이번 선거의 최대 격전지로 떠올랐던 동작을에서 새정치연합 기동민 후보가 사전투표 하루전인 지난 24일 후보직을 전격 내려놓으면서 정의당 노회찬 후보가 단일화 효과를 발판으로 전세 역전을 노렸지만 역부족이었다.

노 후보는 이날 48.69%를 득표, 49.90%를 얻은 새누리당 나경원 의원을 턱밑까지 추격했지만 1.21% 포인트(929표) 차이로 석패했다.

노동당 김종철 후보는 두 후보간 격차를 넘어서는 1천76표(1.40%)를 얻었고, 무효표도 이보다도 많은 1천403표(1.79%)를 기록했다.

무더기 무효표의 상당수는 투표용지에 찍힌 기 전 후보에 던진 '사표'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수치상으로 보면 '뒤늦은 단일화'와 노동당 김 후보와의 추가 단일화 무산이 패인으로 꼽힐 수 있는 대목이다.

야권이 전국적 단위의 선거연대 실험에 나선 것은 2010년 6·2 지방선거 때였다.

당시 승리를 거머쥐면서 재미를 본 야권은 2012년 19대 총선 등 선거 때마다 '전가의 보도'처럼 연대 카드를 꺼내들었다.

이 가운데 2011년 10·26 서울시장 재보선 당시 새정치연합 안철수 대표의 양보를 발판으로 민주당 박영선 당시 후보와 단일화에 성공한 박원순 시장의 당선은 '아름다운 단일화'의 사례로 꼽힌다.

반면 2012년 대선 때 단일화 협상 결렬 끝에 안 대표의 후보직 사퇴로 막을 내린 '문재인-안철수' 단일화는 '절반의 단일화'로 기록됐다.

야권의 선거연대 흐름은 지난해 통합진보당이 종북논란에 휘말리면서 제동이 걸렸다.

새정치연합은 이후 진보당과 결별을 선언하고 이번 선거에서도 '당대당 연대는 없다'며 독자생존을 표방했으나 결국 선거 막판에는 새정치연합과 정의당간에 주고받기식 '빅딜'의 모양새를 연출했다.

야권 후보 단일화가 정치공학적 '묻지마 연대' 프레임에 갇히면서 보수층의 결집을 초래, 역효과를 가져왔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보수적 성향이 강한 수원병(팔달)에서는 정의당 이정미 후보의 사퇴가 새정치연합 손 후보에게 결코 유리하지 않게 작용했다는 시선도 나온다.

그러나 '일여다야(一與多野)구도'에서 야권표 분열을 막기 위해선 단일화가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측면을 부인할 수는 없는 게 현실이다.

실제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생환'한 수원정(영통)의 박광온 의원 승리에는 정의당 천호선 후보의 사퇴로 야권표 분산의 위험요소가 제거된 게 한몫 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이다.

한때 야권 내에서 통용됐던 '단일화=무조건 승리'라는 신화가 깨지면서 선거 때마다 '땜질'식으로 후보 연대에 나서기 보다는 2016년 20대 총선을 앞두고 통합 등 보다 근본적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도 야권 일각에서 나온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강건택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