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 대책] "우리 회사 다니면 장가 못간다는데…"
정부가 이번에 발표한 ‘일자리 단계별 청년고용대책’에 대해 중소기업들은 ‘기대 반·우려 반’의 반응을 보였다. 일·학습 병행기업 확대와 근속장려금 지급 등 도움이 되는 대책이 여럿 나왔지만 중소기업 인력난을 해소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이 인력난을 겪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낮은 임금 수준이다. 2011년 기준 중소기업 평균 임금은 대기업의 53%에 불과했다. 중소기업의 복리비용 지출도 대기업의 60.7%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시간이 갈수록 더 벌어지고 있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중소기업의 임금수준은 대기업의 70% 이상을 유지했다.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대기업 연봉과 비교할 때 ‘상대적인 박탈감’을 크게 느낀다. 한광의 계명재 사장은 “삼성전자 등 대기업의 특별보너스 등이 발표될 때마다 근로자들이 느끼는 심리적 박탈감은 매우 크다”고 말했다.

두 번째 문제는 열악한 작업환경이다. 중소기업 중에는 현대식 시설을 갖춘 곳이 늘어나고 있지만 상당수는 여전히 낡은 공장에서 작업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아예 젊은이들이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인천 일진도금단지의 한 기업인은 “국내 젊은이들은 작업 환경이 나쁘면 아무리 대우를 잘해줘도 오질 않는다”며 “그렇다고 기업들이 한꺼번에 많은 투자를 해서 공장을 리노베이션하기도 쉽지 않아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세 번째는 중소기업에 근무한다는 사실이 결혼하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학 졸업 후 3년째 대기업 입사만 준비해온 인천의 김용철 씨(30)는 “중소기업에 취업해도 장가가기 힘들다”며 “시간이 걸려도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에 취업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은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고 어렵게 직원을 구하더라도 금방 이직하는 사례가 잦아 어려움을 겪는다. 반월의 제이미크론 황재익 사장은 “1년에 30~40명을 채용하는데 이직하는 인원도 한 해 30~40명에 달한다”며 “증원은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인천에 있는 금형업체의 한 관계자는 “열심히 금형교육을 해 전문가로 키워놓으면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고 밝혔다. 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중기 근로자 10명 중 2명이 대기업으로 빠져나가고, 3~5년차 대리급의 51.8%가 이직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여러 요소가 겹쳐 중소기업의 인력 부족률(고용노동부 조사)은 3.3%에 달해 대기업(1.2%)에 비해 2.8배나 높다. 부족 인원은 24만6000명에 이른다. 청년 실업자가 공식적으로는 34만명이지만 실제 민간연구소가 추산하는 것은 100만명이 넘는다. 세금을 풀어 청년 취업을 돕겠다는 정부 정책이 중소기업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김낙훈 중기전문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