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직장인 이모씨는 현금 대신 신용·체크카드 한 장씩을 넣은 목걸이형 카드지갑만 메고 다닌다. 그는 아침식사 대용으로 매일 집 앞 편의점에 들러 사 먹는 1300원짜리 바나나우유도 체크카드로 결제하는 이른바 ‘온리(only) 카드족’이다.

1000원도 카드 결제…속타는 카드사
온리카드족이 늘어나면서 소액결제 비중이 급증세다. 이씨의 지난 11일 하루 카드사용 내역을 살펴보면 바나나우유(1300원), 스타벅스 두유라테(3900원), 금원삼계탕 닭곰탕(7000원), 택시비(1만2000원), 볼펜 구입비(2600원) 등 9건의 결제건수 중 8건이 1만5000원 이하 소액결제다.

신한카드의 올 1분기 카드승인액에서 1만5000원 이하 소액결제 비중은 46.86%에 달한다. 1년 전 42.97%보다 3.89%포인트 높아졌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 1만원 이하 소액결제 비중은 38.5%에 달했다. 5000원 이하 결제 건수 비중도 21.6%였다. 이에 따라 체크·신용카드의 평균 결제금액이 줄어드는 추세다.

카드 업계는 소액결제 증가를 동반하는 온리카드족 증가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카드 결제 시 카드사는 가맹점으로부터 1.5~2.7%의 수수료를 정률제로 받아가는 데 비해 카드사가 밴사에 지급하는 돈은 정액제로 건당 평균 120원에 이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음료수 구매비로 2500원을 결제하면 카드사는 수수료로 50원(수수료 2% 가정)을 가져가지만, 밴사에 수수료 120원을 주고 나면 70원의 손해가 발생하는 셈이다. 카드사들은 1만5000원 이상 결제해야 수익이 발생한다는 입장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소액결제에서 발생한 손실을 고액결제에서 메우는 식”이라고 설명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