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를 도와주십시오. 일본이 조선을 유린하고 있습니다.”(1907년 7월20일 ‘평화회의보’) 고종 황제의 밀명을 받고 만국평화회의가 열린 네덜란드 헤이그로 급파된 이준 열사.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자결을 택한 1주일 뒤 보도된 특사단 문서 내용의 일부다.

조실부모하고 할아버지 손에 자란 선생은 어려서부터 명민했다. 17세 때 고향 함경남도 북청을 떠나 상경, 정객들과 접촉하던 그를 인재로 알아본 이는 흥선대원군이었다. 대원군의 도움을 받아 학문에 매진한 선생은 26세 때 함경도 내 과거에서 장원급제한 뒤 낙향, 사재를 털어 경학원(북청농고) 등 학교 설립에 나섰다. 계몽운동을 벌이던 그는 36세에 법관양성소를 졸업, 한성재판소 검사보가 됐다. 검사 5년차에 탐관오리였던 이하영 법무대신(장관)을 탄핵, 세인의 주목을 받았다.

1902년 민영환 등과 함께 비밀결사를 조직하는 등 항일운동에 본격 뛰어들었다. 대한협동회, 보안회 등의 조직을 결성, 일제의 황무지 개간을 저지하고 국채보상운동을 전국으로 확산시켰다.

1907년 만국평화회의 개최 소식을 접한 선생은 러시아 횡단철도를 이용, 두 달여 만에 헤이그에 도착했다. 도착 20일째, 일본의 방해로 회의장 진입에 실패한 선생은 할복 자결로 조선의 현실을 전 세계에 알렸다. 105년 전 오늘(7월14일)이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