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논란을 빚고 있는 임플란트를 대체할 기술은 없을까.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전남 광주에서 치아재생기술 등에 대한 기초 의과학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연세대 치대 정한성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활용, 치아를 재생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연구팀은 치아가 붙어서 나는 쌍생치아(double tooth)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치아의 발생 과정을 밝혀냈다. 암 발생의 핵심 유전자인 윈트(Wnt) 신호가 2개 유전자(Shh, Sostdc1)와 상호작용하면서 정상적인 치아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임신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3개 유전자 신호가 어그러지면 쌍생치아가 다수 형성된다는 점을 입증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간 치아 28개(사랑니 제외) 각각에도 이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치아 줄기세포가 세 가지 유전자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으면서 어금니, 송곳니, 앞니 등으로 모양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연구팀의 최종 목적은 잇몸 등에 줄기세포 기반 신약을 주사해 새 치아를 솟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갈 길이 먼 꿈 같은 얘기다. 줄기세포를 쥐 안에 주입하기 위해 사용한 바이러스 시스템을 인간에게도 사용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지금까지 의료진은 줄기세포를 특정 부위에서 원하는 기능으로 정확히 분화시키기 위해 타깃 발굴 능력이 뛰어난 바이러스에 넣어 체내에 주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상은 이런 걸림돌을 제거할 때 시작된다. 정 교수는 “임상치료와 기초의과학이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프로젝트가 광범위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박경표 교수팀은 노인성 질환인 구강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을 소개했다. 연구팀은 쇼그렌 증후군(자가면역질환의 일종) 환자 혈청에서 분리한 자가면역 항체가 체내 특정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무스카린 타입 Ⅲ)를 억제시키며, 이 효과가 식도 위 장 등 평활근 장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무스카린 타입 Ⅲ 수용체를 정상으로 되돌리면 구강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 Wnt 신호전달

암 발생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유전자. Wnt 신호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종류의 암이 번지고 전이가 된다는 사실이 의학계에서 입증돼 있다. 1989년 노벨생리의학상의 주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