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업무용 스마트폰 도입을 검토했던 청와대가 '시기상조'라는 결론을 내렸다. 보안문제를 완전히 안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26일 "급변하는 IT(정보기술) 문화를 직접 체험하면서 보다 창의적 국정운영을 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스마트폰 도입의 적합성을 점검했지만,해킹 등 보안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국정원과 관련부처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해결한 뒤 스마트폰 도입 여부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선임 행정관급(2급) 이상 직원들에게 일반 업무용폰을 지급한다. 홍보 정무 민정 등 외부와 연락이 잦은 수석실의 상당수 일반 직원들도 업무용폰을 사용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최근 "국민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비서관들도 알아야 하니 체험해 보라"고 지시하는 등 스마트폰에 상당한 관심을 표시했다. 지난달 인도 · 스위스 순방 때도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가 우려하는 스마트폰 보안 문제는 해킹이다. 일반 휴대폰과 달리 범용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스마트폰은 PC처럼 외부 해킹에 노출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의 한 대학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 모바일 6.1 OS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악성코드를 설치,개인정보와 주소록 등을 빼내거나 인터넷 상품 구매에 악용하는 시연을 해보였다. 국가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청와대의 경우 사소한 보안 문제도 크게 비화될 수 있어 도입에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중에서는 해킹에 자주 이용되던 PC용 윈도와 자유롭게 연동되는 윈도 모바일폰이 보안 위협이 크고,최근 국내에 첫 출시된 구글 안드로이드폰도 비슷한 위험을 겪을 수 있다는 게 보안업계의 지적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보안 문제에 대해 지나치게 과장할 필요가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인터넷 서핑 중 외부로부터 자유롭게 파일을 내려받는 PC와 달리 스마트폰은 외부 파일을 설치하는 방식이 제한적이다.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상당수 프로그램도 이동통신회사나 제조회사를 통해 검증된 서비스를 내려받는다. 무방비로 해킹에 노출된 PC와 달리 스마트폰이 상대적으로 더 안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대기업들이 모바일 오피스 도입에 적극적인 것은 일부 보안 문제에도 불구,도입 혜택이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백신이나 방화벽 등 스마트폰 관련 보안 제품 개발도 활성화되고 있어 이를 통해 위협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영식/김태훈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