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간 무역전쟁의 여파로 올해 인천·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세가 꺾이고 있다. 인천·부산항만공사는 올해 물동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비상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美·中 보복관세 여파 교역량 줄어든 탓에…부산·인천항 물동량도 증가세 꺾였다
10일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지난 5월 부산항 북항과 신항 9개 컨테이너 전용부두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191만1000TEU(I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전년 동기에 비해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4월까지 월평균 증가율 3.8%에 비해 크게 떨어졌다. 다른 나라의 화물이 부산항에서 배를 바꿔 제3국으로 가는 환적 화물의 증가세도 둔화됐다. 환적화물은 부산항 전체 물동량의 52%가량인데 이 가운데 미·중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에 가깝다. 5월 환적화물의 증가율은 1.7%에 그쳤다. 역시 1~4월 평균증가율 6.4%에 크게 못 미친다.

이응혁 부산항만공사 마케팅부장은 “미국과 중국이 상대국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하면 그만큼 교역량이 줄어들고, 부산항은 직접 영향을 받게 된다”며 “6월 첫째주 상황도 좋지 않아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심재운 부산상공회의소 조사연구본부장은 “대중국 중간재 수출 비중이 높은 섬유와 철강업에서 미·중 통상 분쟁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늘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천항의 물동량 증가세도 주춤하고 있다. 올 들어 5월까지 물동량은 약 125만4000TEU로 전년 같은 기간(125만3000TEU)과 비슷한 수준이다. 5월 물동량은 26만8000TEU로 전년 동기 대비 2.5% 줄었다. 올해 물동량 목표치를 지난해보다 4.1% 증가한 325만TEU로 늘려잡은 인천항만공사는 최근 선사협의체 등 60여 개 해운 관련 기관과 비상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수출 품목은 전기전자·자동차 부품이, 수입은 의류 등 직물류가 눈에 띄게 줄었다”고 말했다.

인천=강준완/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